-
교육 목표
지역·바이오시스템공학과는 모니터링/모델링과 ICT 및 빅데이터 기술을 결합하여 지역인프라(농토목 및 건설)-물관리(수자원 관리 및 비점오염 제어)-토양환경(토양 관리 및 탄소 저장)-대기환경(미세먼지와 대기오염 관리)-농업생태계(기후변화 적응/대응 생태계 구축 및 관리)를 포괄하는 기후 지능형 농촌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운영되고 있다. 또한, 기후변화 시대의 안정적 식량 생산과 환경 관리, 그리고 지속가능한 지역 개발에 요구되는 전문 글로컬(Glocal) 인력 양성을 위해 공학-농학-자연과학-인문학을 포괄하는 통섭적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.
주요 과목- 지역물환경 분야 : 수문학, 관개배수공학 등
- 토지개량 및 복원 분야 : 농촌환경공학, 농업환경생태학 등
- 농촌기반공학분야 : 토질역학, 기초공학 등
- 기후지능지역용수공학 분야 : GIS, 방재공학 등
- 농업시설 구조 및 환경 분야: 응용역학, 농촌인프라설계 등
- 기후변화농업환경 분야: 기후생태공학, 기후변화농업환경학 등
토목기사, 수질환경기사,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기사, 지적기사, 토양환경기사, 온실가스관리기사, 산업안전기사, 건설안전기사, 건설재료시험기사, 콘크리트시험기사, 응용지질기사, 농림토양평가관리기사, 정보처리기사, 중등학교 2급 정교사 자격증 등
졸업 후 진로- 국가기관:기술/행정직 공무원 (국가/지방직, 토목/농업직 등), 연구사(관) (농촌진흥청, 국립환경과학원 등) 및 지도사 등
- 공공기관 : 한국농어촌공사, LH공사, K-water 등 주요 공기업
- 교육‧연구 : 대학교수, 중/고등학교 교사, 농어촌연구원, 한국건설기술연구원, 국책연구기관 등
- 기 업 : 건설회사 (현대건설, 삼성물산, GS 건설 등), 설계회사 (한국종합기술, 도화종합기술 등), 일반토목 및 농업토목 관련 업체 등
- 윤광식 교수 : 지역물환경
- 최우정 교수 : 토지개량 및 복원
- 백원진 교수 : 농촌기반공학
- 유승환 교수 : 기후지능지역용수공학
- 홍세운 교수 : 농업시설환경
- 박현진 교수 : 기후변화농업환경